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LANGUAGE
ENGLISH
CHINESE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대학정보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검색 열기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모바일 메뉴 닫기
KOREAN
ENGLISH
CHINESE
아주광장
HOME
아주광장
대학정보
입학
교육
연구/산학
학사지원
대학생활
아주광장
미디어센터
공지사항
캘린더
미디어센터
커뮤니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아주인칼럼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아주인칼럼
Total
1977건
,
59
/
396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1687
[칼럼] 히딩크와 퍼거슨 감독이 남긴 것
위치 확인
[조영호, 경영학과 명예교수] 2002년 한국과 일본에서 공동 개최한 FIFA 월드컵은 17년째 월드컵 대회인데 역대 월드컵과는 다른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 유럽과 아메리카 밖에서 열린 첫 대회이고 또 두 나라가 공동 주최하는 것도 처음이었다. 우리나라는 이 대회를 유치한 이후 이 대회에서만큼은 좋은 성적을 내야 한다고 벼르고 있었다. 그때까지 한국은 4회 연속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기는 했으나 본선에서 한 게임도 이겨 본 적이 없었다. 4무 10패의 기록을 가지고 있었다. 논란 끝에 2000년 12월 네덜란드 거스 히딩크(Guus Hiddink) 감독을 영입하여 그에게 사령탑을 맡겼다. 2002년 6월까지 그가 가진 시간은 1년 반밖에 되지 않았다. 그는 파격적으로 선수를 기용하고 또 훈련을 시켜나갔다. 훈련 과정에서 치러진 평가전에서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그러나 결국 월드컵 본선에서 포르투갈과 이탈리아를 이기고, 스페인과 미국과는 비기면서 4강에까지 진출하는 기적을 일궈냈다. 영국의 알렉스 퍼거슨(Alex Ferguson) 감독은 1986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MU: Manchester United) 팀 감독을 맡아 26년이나 재임하면서 상상하기 어려운 기록을 남겼다. 프리미어리그 우승 13회, 잉글랜드 FA컵 5회, UEFA 챔피언스리그 2회 우승 등 총 38회의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영국 축구 역사상 최초로 1999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트레블(리그 우승, FA 컵 우승,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동시에 이루는 것)을 달성후, 이에 따른 공로를 인정받아 기사 작위에 서임되었다. (하략) http://www.ihsnews.com/45445
1686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2-06
4882
동영상
동영상
조영호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85
[칼럼] 소변에 거품이? 거품 낀 단백뇨 이야기
위치 확인
[김범택, 아주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최근 만성 콩팥병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35세 이상 성인 7명 중 1명이 만성 콩팥병을 앓는다. 만성 콩팥병은 혈액 내 노폐물을 신장이 걸러내지 못해 요독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초기에 단백질·피 등이 소변으로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단백뇨 여부는 만성 콩팥병의 매우 중요한 증상이다. 액체 표면의 거품은 물 분자가 서로 잡아당겨서 물의 표면적을 최소화하려는 힘인 표면 장력이 감소해 발생한다. 비누를 쓸 때 거품이 생기는 이유도 계면 활성제라는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는 물질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몸을 이루는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돼 있는데, 아미노산 일부는 물에 잘 녹고, 다른 부분은 물에 잘 녹지 않아 일종의 계면 활성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소변에 단백뇨가 있으면 거품이 잘 생긴다. 또한 소변은 대개 약간의 지린내가 난다. 소변의 암모니아 성분 때문인데, 만약 육류나 단백질을 많이 먹은 경우 소변의 암모니아양이 증가하면서 평소보다 거품이 많이 날 수 있다. 또한 서서 소변을 보는 남자들은 소변 줄기가 변기에 부딪히는 각도와 속도에 따라 많은 거품이 생기기도 한다. 이런 경우는 좌변기에 앉아서 소변을 보고 거품이 생기는지, 또 거품이 얼마나 천천히 사라지는지를 관찰해야 한다. (하략)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22&t_num=13613850
1684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2-06
7264
동영상
동영상
김범택 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83
[칼럼] 인공지능의 성장과 암흑(2)
위치 확인
[정문호, 다산학부대학 특임교수] 지난 시간에 이어 인공지능이 발전해 오면 있었던 굴곡에 관해 이야기 해 봅니다. 이상적으로 사람을 대신해 줄 거라 믿었던 인공지능이, 엄청난 기억력과 빠른 산술 능력에 감탄을 자아내어 모든 것을 해 주리라 믿었지만 검증하면 할수록 그 믿음이 배신으로 되돌아 왔습니다. 그 때의 인공지능은 조금만 더 복잡하거나 다양한 변수가 있으면 사람이라면 쉽게 할 수 있는 판단이나 결과도 내 놓지 못하였습니다. 이 후 인공지능과 관련된 투자는 지지부진하고 미국 등의 인공지능 선진국도 투자를 꺼리거나 기존의 연구개발 투자도 회수하거나 축소하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되었습니다. 1970년대에 인공지능은 회생 불가능한 기술이라고 치부될 정도였습니다. 1980년대에 이르러 인공지능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의 암흑기에서의 교훈인 사람이 직관으로 하는 작업을 여러 단계의 순서가 있는 논리적인 단계를 거쳐야 함을 인식하고 새롭게 접근하는 연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하략) http://www.therepo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385
1682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2-06
4821
동영상
동영상
정문호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81
[칼럼] 인공지능의 성장기와 암흑기(1)
위치 확인
[정문호, 다산학부대학 특임교수] 인공지능이 오늘 날까지 오기까지 많은 굴곡이 있었습니다. 인공지능 기술은 시대에 따라 발전을 거듭하기도 했지만, 발전의 한계를 체감하여 "더 이상 인공지능의 발전은 없다"라는 회의론으로 일관한 시간도 있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70년 이전에 인공지능이 탄생을 하고 인공지능의 개념은 사람을 대체하는 것을 넘어 만능이라는 탈을 쓰고 인공지능의 이상주의자가 지배하는 시대를 맞이하였습니다. 즉, 인공지능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리라 믿었습니다. 왜냐하면, 사람이 하면 어려운 수학문제를 풀고, 논리적인 증명을 해 나가고 영어를 학습하는 성과를 보여줬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당연하게 생각하는 컴퓨터의 기억 능력을 사람과 비교하기 시작한 그 때에는 아주 놀라운 일이었습니다. 사람에 비해 암기 능력이나 계산하는 능력이 아주 뛰어났던 그 시절, 사람은 인공지능이 탑재된, 지금으로 보면 단순 컴퓨터가 신과 같은 존재였습니다. (하략) http://www.therepo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058
1680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2-06
4940
동영상
동영상
정문호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79
[칼럼] 공직자에게 인문학을 부과하자!
위치 확인
[박만규, 불어불문학과 교수] 10월 29일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후 한 달이 지나고 있지만 우리들의 마음은 여전히 스산하다. 국회에서의 국정조사에 관한 여야의 극한 대립에서부터 유가족들의 눈물의 기자회견과 각계각층의 성명서 발표에 이르기까지 무엇 하나 해결된 것이 없고 모든 일들에 분노만 쌓여가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성난 여론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이번 참사에 대해 책임을 지는 공직자들이 없다는 점이 우리를 가장 화나게 한다. 행안부장관, 경찰청장, 경찰서장, 용산구청장 등 관련 기관장 모두가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삼척동자도 다 아는 바와 같이, 국민의 안전 유지와 복리 증진을 떠맡고 있는 공직자들에게는 누구보다 강한 책임의식이 필요하다. 공직자에 많은 그토록 많은 권한을 부여한 것은 반대로 그만큼의 막중한 책임도 져야 하기 때문이다. 책임이란 ‘어떤 일에 관련되어 그 결과에 대하여 지는 의무나 부담. 또는 그 결과로 받는 제재(制裁)’이다. ‘책임’(責任)이라는 말의 구성은 ‘꾸짖을 책’, ‘맡길 임’으로 되어 있다. 잘할 것으로 기대되어 일을 맡기지만 만일 잘못하면 꾸짖을 것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인정받은 능력만큼의 노력을 다하되, 만일 그렇지 않으면 국민으로부터의 질책을 각오해야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권리만을 누리고 질책은 면하려 하는 태도를 보인다면 그것은 그 개념 자체로도 논리적인 모순일 뿐 아니라,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헌법 제1조 제2항의 정신과도 정면으로 배치되는 사고이다. 그럼에도 지금 우리의 공직자들이 보이는 태도는 왜 이럴까? (하략) http://ccej.or.kr/82363
1678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2-06
4816
동영상
동영상
박만규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